맨위로가기

가음 단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음 단층은 의성군, 영천시 일대에 걸쳐 약 40km 이상 연장되는 단층으로, 좌수향 주향 이동의 특징을 보인다. 가음 단층은 가음 단층대라고 불리는 여러 소규모 단층들을 포함하며, 의성 단층, 금천 단층, 자락 단층, 군위 단층, 우보 단층, 신녕 단층, 팔공산 단층 등이 이에 속한다. 가음 단층계는 여러 지질도폭에서 확인되며, 백악기부터 신생대까지 여러 차례의 지각 변동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향이동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주향이동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가음 단층
지도 정보
경상 분지 내 가음 단층대의 모습
경상 분지 내 가음 단층대의 선형과 단층의 노두
단층 정보
이름가음 단층
다른 이름佳音 斷層, Gauem Fault
명명 유래의성군 가음면
명명자구산동 및 군위 지질도폭
명명 년도1977, 1981
위치경상 분지
지역경상북도, 대구광역시
도시의성군, 군위군
길이40 km 이상
주향서북서-동남동
경사남서, 북서, 남동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상태일부 활성단층
지진없음
단층 유형주향 이동 단층
이동 방향대개 좌수향
암석 단위경상 누층군, 불국사 화강암
단층 형성 시기중생대 백악기 이후
ESR 연대측정값560±50 ka
조산 운동동-서 방향의 횡압력
참고 자료
참고 자료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기계-가음 간 경상누층군 내에 발달하는 단층계
Relationship between the Kaum fault and the Yangsan fault at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Cretaceous Ky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북동부에서의 가음단층과 양산단층의 관계)

2. 가음 단층의 자취

가음 단층은 의성군 봉양면, 금성면, 가음면영천시 화북면 일대를 따라 약 40 km 이상 이어진다. 이 단층은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 등을 가로지르며, 단층에 의해 절단된 화산암과 퇴적암의 경계는 좌수향 운동으로 최대 2.3 km의 수평 변위가 발생했음을 보여준다.[1][5]

2. 1. 지질도폭

1980년 군위 지질도폭에 의하면 금성면 탑리리에서 가음면으로 이어지는 가음 단층은 북서 65°의 주향을 가지며 단층을 따라 관입한 맥암이 단층의 운동으로 파쇄되어 있다.[6] 1976년 구산동 지질도폭에 의하면 가음 단층은 북서 60°의 주향을 가지며 선암산 북서측 의성군 가음면 현리리에서 2.5 km, 군위군 삼국유사면 낙전리에서 1 km, 학암리에서 2.5 km의 변위를 보인다. 이 단층에 의해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 춘산층과 유천층군 산성화산암, 불국사 화강암류 중성암맥이 변위되었다.[7]

2. 2. 가음 단층의 노두

가음 단층의 노두 위치[1]
위치좌표지질성향주향경사ESR 연대측정값비고
의성군 금성면 도경리경상 누층군 자색 이암, 담회색 미사암정이동, 우수향 및 좌수향 주향이동북서 87°남서 74°-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경상 누층군 하양층군좌수향 주향이동북동 83°북서 53°-
의성군 가음면 양지리경상 누층군역이동, 정이동, 우수향 주향이동서북서-
군위군 삼국유사면 낙전리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좌수향 주향이동북동 12°북서 85°-
군위군 삼국유사면 석산리화강암좌수향 주향이동북서 47°
북동 18°
남동 77°
남동 85°
560±50 ka


  •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금성산 칼데라 남쪽)에서 확인된 가음 단층은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의 사암과 미사암을 절단하고 있다. 이곳의 단층은 항공/위성사진으로 선명하게 인지되는 서북서 방향의 선상구조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북동 83°의 주향과 북서 53°의 경사를 가진다. 이곳에서 서쪽으로 약 3.4 km 떨어진 지점에서는 주향 북서 87°, 경사 남서 74°의 단층 노두가 확인되며 북쪽의 자색 이암과 남쪽의 담회색 미사암을 구분한다. 단층경면의 단층조선과 섬유상 결정은 정이동, 우수향 및 좌수향 주향이동의 다양한 운동 감각을 보인다.[1]
  • 의성군 가음면 양지리 가음저수지의 서편 도로공사로 새롭게 드러난 절개사면은 가음 단층의 북쪽 손상대에 해당하며 서북서 방향의 소규모 단층들이 다양한 경사로 발달한다.[1]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낙전리 지점에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에 폭 14 m의 단층대가 발달한다. 남과 북으로 형성된 단층 파쇄대는 10 m 이상이며 좌수향 주향이동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1]
  •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석산리 지점에는 3개의 단층대가 발달하며 단층경면의 조선은 좌수향의 주향이동을 지시한다. 두 번째 단층에서 북동-남서 방향의 수직 단층과 북서-남동 방향의 역단층 운동이 관찰되는데 이는 동-서 방향의 압축력으로 좌수향 운동이 발생한 후 북동-남서 방향 압축력을 받았음을 지시하며 이는 이병주와 황재하(1997)의 연구와도 부합한다. 화강암에 발달한 단층면에서 단층시료를 채취하여 ESR 연대측정을 실시한 결과 최대 ESR 연대는 560±50ka이다.[1]

3. 가음 단층대

가음 단층계(佳音 斷層系, Gaeum Fault System, GFS)는 가음 단층을 포함하여 그 주변에 발달하는 일련의 단층들을 통칭한다. 이 단층들은 경상 분지 의성소분지 일대에 분포하며, 가음 단층 외에도 소규모의 자잘한 단층들이 다수 존재한다.[8][1][9]

신령 지질도폭(1980)에서는 가음 단층계의 방향성이 팔공산 화강암의 관입 방향과 유사하다고 보았다. 단층의 약한 부분을 따라 화강암이 관입했고, 관입 이후에도 단층 운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10] 이현구 외(1993)는 금성산 칼데라 일대에서 약 7140만 년 전 탑리 현무암이 분출될 때 서북서 방향의 단층들이 좌수향 주향이동을 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11]

최범영 외(2001)는 가음 단층에서 5번의 지구조적 사건을 제안했다. 백악기 전기 바렘절의 동-서 방향, 백악기 후기 투렌절의 남-북 방향, 신생대 팔레오세의 북서-남동 방향, 신생대 올리고세의 북동-남서 방향, 후기 마이오세의 서북서-동남동 방향이다. 이 5번의 사건 동안 가음 단층의 좌수향 주향이동이 가장 중요하고 뚜렷한 사건이며, 이는 팔레오세의 북서-남동 방향 압축력과 일치한다.[12] 고상모 외(2003)는 약 8천만~6천만 년 전에 양산 단층 및 가음 단층계의 운동과 관련된 북서-남동 방향의 열수변질광상이 형성되었다고 보고했다.[13]

최범영 외(2004)는 변형된 지층의 연령과 지형구조분석을 통해 가음 단층과 자락 단층이 백악기 전기 바렘절에 동-서 압축력에 의해 처음으로 좌수향운동을 했으며, 플라이오세에 동-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두 번째 좌수향 이동을 겪은 것으로 보았다.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에서 확인된 신녕 단층백악기 후기 샹파뉴절에서 신생대 에오세까지 우수향으로 운동했고, 플라이오세에 좌수향으로 다시 활동한 것으로 분석했다.[14]

황병훈 외(2008)는 양산 단층과 가음 단층대가 동-서 또는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 환경에서 각각 우수향과 좌수향 주향이동을 했다고 해석했다. 또한, 지속적인 압축 환경에서 양산 단층계는 반시계방향으로, 가음 단층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했다고 보았다. 가음 단층계가 절단하고 있는 신동층군 퇴적암의 변위(2.7 km)가 유천층군 화산암류의 변위(1.0 km)보다 큰데, 이는 가음 단층이 운동하는 동안에도 유천층군의 화산 활동이 활발했다는 것을 의미한다.[15]

3. 1. 가음 단층계의 구성

가음 단층이 위치한 경상 분지 의성소분지 일대에는 가음 단층 외에도 소규모의 자잘한 단층이 다수 분포하는데 이 일대에 발달하는 일련의 단층들을 묶어 '''가음 단층계'''(佳音 斷層系, Gaeum Fault System, GFS) 또는 '''가음 단층대'''라 부른다. 뚜렷한 선상구조로 나타나는 서북서 주향의 단층들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황학산 단층, 의성 단층, 금천 단층, 자락 단층, 가음(수기령) 단층, 군위 단층, 우보 단층, 신녕 단층, 팔공산 단층으로 명명되어 있다.[8][1][9]

신령 지질도폭(1980)에서는 가음 단층계의 방향성이 팔공산 화강암의 관입 방향과 유사하다며 단층의 약대(弱帶)를 따라 화강암의 관입이 있었고 관입 이후에도 단층의 운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10] 이현구 외(1993)는 금성산 칼데라 일대에서 7140만 년 전에 탑리 현무암의 분출과 동시에 서북서 방향의 단층들이 좌수향 주향이동을 하였을 것으로 제안하였다.[11] 최범영 외(2001)는 가음 단층에 대한 5개의 지구조적 사건을 제안했다; 백악기 전기 바렘절의 동-서 방향, 백악기 후기 투렌절의 남-북 방향, 신생대 팔레오세의 북서-남동 방향, 신생대 올리고세의 북동-남서 방향, 후기 마이오세의 서북서-동남동 방향. 5개의 지구조사건 동안 가음 단층의 좌수향 주향이동이 가장 중요하고 뚜렷한 사건이며 이는 팔레오세의 북서-남동 방향 압축력과 일치한다.[12] 고상모 외(2003)는 8천~6천만 년 전에 양산 단층 및 가음 단층계의 운동과 관련된 북서-남동 방향의 열수변질광상이 형성되었다고 보고하였다.[13] 최범영 외(2004)는 변형 받은 지층의 연령과 지형구조분석에 근거하여 가음 단층과 자락 단층이 백악기 전기 바렘절에 동-서 압축력에 의해 첫번째 좌수향운동을 했으며 플라이오세에 동-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두번째 좌수향 이동을 겪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에서 확인된 신령 단층의 기하와 지형구조분석에 근거하여 신녕 단층백악기 후기 샹파뉴절에서 신생대 에오세까지 우수향으로 운동하였고, 플라이오세에 좌수향으로 재활동한 것으로 분석했다.[14] 황병훈 외(2008)는 양산 단층과 가음 단층대가 동-서 내지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환경 하에서 각각 우수향과 좌수향 주향이동 감각으로 운동하였으며, 지속적인 압축환경 하에서 양산 단층계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반면 가음 단층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했다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가음 단층계가 절단하고 있는 신동층군 퇴적암의 변위(2.7 km)가 유천층군 화산암류의 변위(1.0 km)보다 상대적으로 크다고 보고하며, 이는 가음 단층의 운동 중에도 유천층군의 화산 활동이 활발했다는 것을 지시한다고 설명했다.[15]

3. 2. 가음 단층계의 연구

의성군에 위치한 금성산 칼데라의 모습. 금성산 일대에는 북서 60° 주향의 가음 단층과 금천 단층이 통과해 칼데라의 화산암을 절단하고 있다.


가음 단층이 위치한 경상 분지 의성소분지 일대에는 가음 단층 외에도 소규모의 자잘한 단층이 다수 분포하는데 이 일대에 발달하는 일련의 단층들을 묶어 '''가음 단층계'''(佳音 斷層系, Gaeum Fault System, GFS) 또는 '''가음 단층대'''라 부른다.[8][1][9]

신령 지질도폭(1980)에서는 가음 단층계의 방향성이 팔공산 화강암의 관입 방향과 유사하다며 단층의 약대(弱帶)를 따라 화강암이 관입했고 관입 이후에도 단층 운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10] 이현구 외(1993)는 금성산 칼데라 일대에서 7140만 년 전에 탑리 현무암 분출과 동시에 서북서 방향 단층들이 좌수향 주향이동을 하였을 것으로 제안하였다.[11] 최범영 외(2001)는 가음 단층에 대한 5개의 지구조적 사건을 제안했다; 백악기 전기 바렘절의 동-서 방향, 백악기 후기 투렌절의 남-북 방향, 신생대 팔레오세의 북서-남동 방향, 신생대 올리고세의 북동-남서 방향, 후기 마이오세의 서북서-동남동 방향. 5개의 지구조사건 동안 가음 단층의 좌수향 주향이동이 가장 중요하고 뚜렷한 사건이며 이는 팔레오세의 북서-남동 방향 압축력과 일치한다.[12] 고상모 외(2003)는 8천~6천만 년 전에 양산 단층 및 가음 단층계의 운동과 관련된 북서-남동 방향의 열수변질광상이 형성되었다고 보고하였다.[13] 최범영 외(2004)는 변형 받은 지층의 연령과 지형구조분석에 근거하여 가음 단층과 자락 단층이 백악기 전기 바렘절에 동-서 압축력에 의해 첫번째 좌수향운동을 했으며 플라이오세에 동-서 방향의 압축력에 의해 두번째 좌수향 이동을 겪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군위군 산성면 백학리에서 확인된 신령 단층의 기하와 지형구조분석에 근거하여 신녕 단층백악기 후기 샹파뉴절에서 신생대 에오세까지 우수향으로 운동하였고, 플라이오세에 좌수향으로 재활동한 것으로 분석했다.[14] 황병훈 외(2008)는 양산 단층과 가음 단층대가 동-서 내지 북동-남서 방향의 압축환경 하에서 각각 우수향과 좌수향 주향이동 감각으로 운동하였으며, 지속적인 압축환경 하에서 양산 단층계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반면 가음 단층계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했다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가음 단층계가 절단하고 있는 신동층군 퇴적암의 변위(2.7 km)가 유천층군 화산암류의 변위(1.0 km)보다 상대적으로 크다고 보고하며, 이는 가음 단층의 운동 중에도 유천층군의 화산 활동이 활발했다는 것을 지시한다고 설명했다.[15]

3. 3. 주요 단층

가음 단층은 경상북도 의성군, 군위군, 청송군, 영천시, 대구광역시, 상주시 일대에 발달하는 여러 단층들의 집합이다. 주요 단층은 다음과 같다.

3. 3. 1. 의성 단층

의성군 의성읍사곡면 일대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을 절단하여 약 20 km 연장된다. 또는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서 청송군 기계면 현서면까지 발달한다.[1] 의성 단층에서 북쪽으로 약 6 km 떨어진 의성읍 상리리 지점(N 36°20'52.51", E 128°43'53.75")에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서북서 방향의 단층이 확인된다. 고각으로 경동된 점곡층이 남-북 방향의 사면을 따라 드러나는데, 주 단층면 인접부의 셰일층 내에는 서북서 내지 북서 방향의 전단면을 따라 미약한 역이동성 감각이 수반된 좌수향 주향 이동 감각의 단층조선이 확인된다.[1]

의성군 신평면 일원에는 약 18 km 이상의 연장을 보이는 서북서 방향의 단층이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을 절단하고 있으며, 최범영 외(2004)의 연구에서는 이 단층을 우향 굴곡(right-bending)하는 의성 단층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도로공사를 위해 절개된 신평면 용봉리의 사면(N 36°26'40.05", E 128°33'28.19")의 단층은 북서 62°의 주향과 북동 80°의 경사를 가진다. 단층 북측에는 괴상의 사암이, 남측에는 서북서 주향의 고각으로 경사진 셰일과 사암이 있으며 셰일 내에서는 습곡이 인지된다.[1]

3. 3. 2. 금천 단층

금천 단층은 의성군 의성읍 비봉리, 금성면 만천리, 춘산면 금천리와 금오리,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 일대의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 불국사 화강암류를 절단하며 약 35 km 이상 연장된다. 청송군 기계면에서 의성군 다인면을 지나 예천군 풍양면에 이르기까지 인지되며, 다인면 덕미리에서 안동 단층을 어긋나게 한다. 상주시 이안면 지역의 서북서-동남동 주향의 좌수향 단층 대현리 단층은 금천 단층의 서측 연장으로 보이기도 한다.[1] 구산동 지질도폭(1976)에 의하면 지표 상의 변위가 650 m~1 km로 나타나고 불국사 화강암류를 절단하고 있으며, 암맥들이 금천 단층과 평행하게 발달하고 이 암맥들이 전단 작용을 받은 것을 바탕으로 단층의 활동과 동시기적으로 암맥이 관입하였다고 추정했다.[1] 금천 단층은 백악기 말의 금성산 칼데라와 약 52 Ma[16]의 연대를 갖는 보현산 화강암을 좌수향으로 절단하고 있어 가음 단층계의 좌수향 운동시기를 한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송군 현서면 사촌리(N 35°11'31.56", E 128°55'24.24")에서는 금천 단층의 부차 단층(subsidiary fault)에 해당하는 고각의 서북서 방향 소규모 단층들이 혼펠스화된 춘산층을 절단하고 있다. 각 단층활면에서 확인되는 단층조선은 우수향 주향 이동 감각이 우세하지만, 일부 단층 활면에서는 좌수향 주향 이동 감각이 인지된다.[1]

3. 3. 3. 자락 단층

자락 단층은 의성군 비안면 일대에 약 7 km 연장으로 발달하는 선명한 서북서 방향의 선상구조이다.[1]

자락 단층에서 북북동쪽으로 3 km 떨어진 곳에는 6 km 연장의 서북서 방향 선상구조가 나타난다. 이 선상구조를 따라가면 하부 진주층이 분포하는 안평면 기도리(N 36°22'47.19", E 128°33'13.80")에서 단층 노두가 확인된다. 이 노두에는 2 m 간격으로 두 개의 단층면이 발달하는데, 남쪽 단층면은 주향이 북서 48°, 경사가 남서 59°이고, 북쪽 단층면은 주향이 북서 51°, 경사가 북동 66°이다. 두 단층면 사이에는 덩어리 형태의 조립질사암이 있고, 그 남북으로 셰일층이 분포한다.[1]

3. 3. 4. 군위 단층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군위읍 일원의 경상 누층군 신동층군과 하양층군을 가로질러 약 7 km 연장된다. 우보 단층(II) 주변부와 함께 군위 단층 인근에는 서북서와 북북동 방향, 동북동 내지 동-서 방향의 전단 단열들이 발달한다.[1]

3. 3. 5. 우보 단층

우보 단층(友保 斷層, Ubo Fault)은 의성군 우보면 이화리를 중심으로 서북서 방향으로 발달한다. 우보 단층은 선산(1989) 및 군위(1981) 지질도폭에서 보고되었으나 천영범 외(2017, 2018)는 이 두 지질도폭의 우보 단층이 서로 연결되지 않는 별개의 단층으로 판단하여 전자를 우보 단층 (I)로, 후자를 우보 단층 (II)로 구분하였다.[1]

우보 단층 (I)은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에서 구미시 도개면을 지나 영천상주고속도로를 따라 서북서 방향으로 약 20 km 연장되며, 백악기 불국사 화강암과 경상 누층군 낙동층을 절단한다.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 일대에서 화강암을 좌수향으로 어긋나게 하며, 그 변위는 300 m이다. 선산 지질도폭(1989)에 의하면 아마도 우보 단층이 활동한 후 다곡리의 화강암이 관입하고 그 후에 다시 단층의 작용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하였다.[17][1]

우보 단층 (II)은 군위군 의흥면우보면을 지나 서북서 방향으로 약 10 km 이상 연장되며 경상 누층군 진주층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 등을 절단한다. 절단된 지층 경계에 근거하여 우보 단층 (I)은 0.7 km 이상의 좌수향 수평 변위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

우보 단층은 유문암질 결정질응회암으로 구성된 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학성리 군위호 북쪽 1km 지점을 통과하며 저수유역 내에도 2매의 단층이 통과한다. 주 단층면의 파쇄대에 근접할수록 산화 철(II), 산화 마그네슘, 산화 칼륨, 석영, 백운모, 녹니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화학 조성과 광물함량에 근거하여 우보 단층의 파쇄대 영향범위는 중심지역 2 m, 최대 16 m인 것으로 추정된다.[18]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의 영천상주고속도로 건설현장에 드러난 우보 단층은 북서 50°의 주향과 북동 84°의 경사로 남쪽의 낙동층 조립질사암과 북쪽 셰일을 경계 짓는다. 고각의 단층경면의 단층조선은 미약한 역이동성 성분이 포함된 좌수향 주향이동 감각을 지시한다.[1]

우보 단층(II)의 약 3 km 남서쪽에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약 8 km 이상의 연장을 보이는 서북서 방향의 선상구조가 선명하게 나타나며 지표조사 결과 이 선상구조를 따라 경상 누층군 퇴적암의 자세가 회전되고 단층손상대가 인지되나 단층핵은 확인되지 않았다.[1]

우보 단층의 노두
위치좌표지질성향주향경사ESR 연대측정값비고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경상 누층군 낙동층 사암, 셰일역이동성 좌수향 주향이동북서 50°북동 84°-


3. 3. 6. 신녕 단층

팔공산 북쪽,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에서 대구광역시 군위군을 거쳐 상주시 공성면까지 약 70 km 이상의 연장을 보이는 대규모 서북서 방향 단층이다.[1] 선산 지질도폭(1989)에서는 대부분 낙동강의 충적평야 아래를 지나 인지가 어려우며 지표에서는 구미시 산동읍 적림리에서 확인되었다.[1] 대율 지질도폭(1980)에서는 백학동 단층으로 명명되었으며 북측 지괴가 남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

3. 3. 7. 팔공산 단층

'''팔공산 단층'''(八公山 斷層, Palgongsan Fault)은 대구광역시 북부의 팔공산 화강암체를 절단하며 서북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주향 이동 단층이다. 단층면은 서북서 방향의 주향에 북으로 고각 경사하는 양상을 보인다.[1] 그러나, 오늘날 팔공산 단층은 팔공산 화강암에 의해 그 흔적이 많이 지워져 있다. 장기홍 외(1997)는 의성소분지와 밀양소분지의 경계를 이루는 서북서 방향 팔공산 단층의 운동사를 제안하였다. 이들에 의하면 팔공산 북쪽에 분포하는 후평동층, 점곡층과 남쪽에 분포하는 칠곡층, 신라 역암층, 학봉 현무암이 형성될 때 팔공산 단층이 퇴적동시성 단층으로 운동하였으며, 단층 휴지기에 함안층진동층이 퇴적되고 유천층군의 화성활동이 발생한 후에 약 5.5 km 수평변위를 보이는 좌수향 주향이동 운동이 발생하였음을 보고하였다. 특히, 여러 백악기 화성암체들이 팔공산 단층의 연장을 따라 분포하고 있음을 토대로 이들이 팔공산 단층을 분출통로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팔공산 단층은 하산동층이 최대 5.5 km의 변위를 보이는 곳에서 가장 잘 관찰되며 동쪽으로는 경산시 하양읍에서 첨멸되나 서쪽의 첨멸 지점은 아직 불명이다.[19][20]

불국사 화강암류에 속하는 팔공산 화강암에 대해 최초로 얻어진 K-Ar 장석연령치는 73 Ma였고[21] 이후 측정된 Rb-Sr 전암 연령은 백악기 후기 상파뉴절에 해당하는 82 Ma이다. 팔공산 주향이동 단층의 운동이 팔공산 화강암 관입 직후에 끝났고 팔공산 화강암이 고결(固結)된 시기를 82 Ma로 본다면 캄파니아 전기에 팔공산 단층의 활동은 끝났다고 보게 되므로 팔공산 단층 발달사의 기간은 백악기 알비절(Albian) 초에서 상파뉴절(Campanian) 전기까지 30 Ma이다.[1]

4. 관련 기사

활성단층 연구팀의 1단계 조사계획 중에 가음 단층계의 집중 조사가 있다.[1]

참조

[1] 웹인용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Active Fault Map and Seismic Harzard Map) http://www.ndmi.go.k[...]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10-01
[2]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 저널인용 기계-가음 간 경상누층군 내에 발달하는 단층계 https://www.dbpia.co[...] 1994-11-01
[4] 저널인용 Relationship between the Kaum fault and the Yangsan fault at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Cretaceous Ky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북동부에서의 가음단층과 양산단층의 관계) https://www.dbpia.co[...] 1997-03-01
[5] 웹인용 진주, 대구, 의성지괴를 중심으로 한 백악기 경상분지의 지구조 진화사 연구 (Tectonic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Focused on the Jinju, Daegu, and Uiseong Blocks) https://www.riss.kr/[...]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01-01
[6] 웹인용 軍威 地質圖幅說明書 (군위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1-01-01
[7] 웹인용 九山洞 地質圖幅說明書 (구산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7-01-01
[8] 저널인용 경상분지 의성지괴에 발달하는 단층계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그리고 분지진화 동안의 역할 (Geometry and kinematics of fault systems in the Uiseong block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ir roles on the basin evolution) https://www.dbpia.co[...] 2017-04-01
[9] 웹인용 '가음단층계'의 분포와 운동 특성에 대하여 https://www.dbpia.co[...] 한국자원연구소
[10] 웹인용 新寧 地質圖幅說明書 (신령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0-01-01
[11] 저널인용 경북ㆍ의성 동남부에 분포하는 금성산 화산암류의 K-Ar연대와 그주변의 광화시기 (K-Ar age of the Keumseongsan volcanic rocks and mineralization in the southeastern part of Euiseong, Gyeongsangbuk-do, Republic of Korea) https://scholar.kyob[...] 1993-08-01
[12] 논문 Formation and deforma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Korea 2001-01-01
[13] 저널인용 Mineralization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ontrols of Hydrothermal Deposits in the Gyeongsang Basin, South Korea https://onlinelibrar[...] 2003-01-01
[14] 논문 Movement history of the GF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4-01-01
[15] 저널인용 Geometric model of conjugate faulting in the Gyeongsang Basin, southeast Korea https://agupubs.onli[...] 2008-01-01
[16] 저널인용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Granites and Magma Mixing in South Korea : Their Spatio-temporal Variations and Tectonic Implications (Multiple Slab Window Model) (남한의 백악기-제3기초 화강암과 마그마 혼합 : 시공간적 변화와 지구조적 의미 (다중 슬랩 윈도우 모델) http://www.koreascie[...] 2012-01-01
[17] 웹인용 善山圖幅 地質報告書 (선산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9-01-01
[18] 저널인용 화북댐 상류지역을 통과하는 우보단층 파쇄대 영향분석을 위한 지화학적 접근 (Geochemical Approach to Define the Fracture Bone Affected by the Ubo Fault at the Northern Part of the Hwabuk Dam) https://scienceon.ki[...] 2004-01-01
[19] 저널인용 경상분지 중앙부의 구조발달사와 화산활동사 (Aspects of Tectonics and Volcanism Recorded in Cretaceous Medial Kyongsang Basin, SE Korea) https://www.kseeg.or[...] 1997-01-01
[20] 저널인용 Cretaceous stratigraphy and geologic history of medial Kyongsang Basin: tectonics and volcanism https://www.proquest[...] 1997-05-01
[21] 저널인용 남한(南韓)의 신기화강암류(新期花崗岩類)의 관입시기(貫入時期)와 지각변동(地殼變動) (Study on the Intrusion Epochs of Younger Granites and their Bearing to Orogenies in South Korea) https://scienceon.ki[...] 197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